23.12.04.(MON).TIL.
어려웠던 부분 리마인드
Part 02. 조건문
Part 02. 조건문
형 변환 챕터에서 배운 형 변환 규칙을 잠시 상기해 봅시다.
숫자 0, 빈 문자열"", null, undefined, NaN은 불린형으로 변환 시 모두 false가 됩니다. 이런 값들은 ‘falsy(거짓 같은)’ 값이라고 부릅니다.
이 외의 값은 불린형으로 변환시 true가 되므로 ‘truthy(참 같은)’ 값이라고 부릅니다.
Part 03. 배열과 반복문
Part 03. 배열과 반복문
thisArg는 아래와 같이 활용할 수 있습니다.
arr.find(func, thisArg);
arr.filter(func, thisArg);
arr.map(func, thisArg);
// ...
// thisArg는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마지막 인수입니다.
thisArg는 func의 this가 됩니다.
아래 예시에서 객체 army의 메서드를 filter의 인자로 넘겨주고 있는데, 이때 thisArg는 canJoin의 컨텍스트 정보를 넘겨줍니다.
Part 04. 함수
Part 04. 함수
Part 05. 객체 기본 문법
Part 05. 객체 기본 문법
this가 없는 화살표 함수
화살표 함수는 일반 함수와는 달리 ‘고유한’ this를 가지지 않습니다. 화살표 함수에서 this를 참조하면, 화살표 함수가 아닌 ‘평범한’ 외부 함수에서 this 값을 가져옵니다.
아래 예시에서 함수 arrow()의 this는 외부 함수 user.sayHi()의 this가 됩니다.
let user = {
firstName: "보라",
sayHi() {
let arrow = () => alert(this.firstName);
arrow();
}
};
user.sayHi(); // 보라
별개의 this가 만들어지는 건 원하지 않고, 외부 컨텍스트에 있는 this를 이용하고 싶은 경우 화살표 함수가 유용합니다. 이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별도의 챕터, 화살표 함수 다시 살펴보기에서 다루겠습니다.
* 출처 : 내배캠 깃북
'Coding > TIL' 카테고리의 다른 글
TIL | #08 | ChatGPT API 활용 카카오톡 챗봇 | 23.12.06.(수) (1) | 2023.12.07 |
---|---|
TIL | #07 | 파이썬, Chat GPT | 23.12.05.(화) (1) | 2023.12.05 |
TIL | #05 | 자바스크립트 기초 | 23.12.03.(일) (1) | 2023.12.03 |
TIL | #04 | 자바스크립트 기초 | 23.12.02.(토) (1) | 2023.12.03 |
TIL | #03 | 자바스크립트 기초 | 23.12.01.(금) (2) | 2023.12.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