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1. 규모의 경제
일반적인 경우 기업이 재화 및 서비스 생산량을 늘려감에 따라 추가적으로 소요되는
평균 생산비용도 점차 늘어난다. 그런데 일부 재화 및 서비스 생산의 경우에는 생산량이
늘어날수록 평균비용이 감소하는 현상이 나타나는데 이를 규모의 경제(economies of scale)라고 한다.
연관검색어 : 범위의 경제
102. 규제 샌드박스
규제 샌드박스(regulatory sandbox)는 핀테크 기업이 현행 규제를 적용받지 않으면서
자신의 혁신적인 금융상품과 비즈니스모델을 시험할 수 있는 공간이나 제도를 뜻한다.
연관검색어 : 핀테크, 로보어드바이저
103. 그램-리치-블라일리법
1999년 11월 미국 의회가 제정한 법으로서 공식 명칭은 금융서비스현대화법(The
Financial Services Modernization Act of 1999) 이다. 공화당 상원의원인 필 그램(Phil
Gramm), 공화당 하원의원인 짐 리치(Jim Leach)와 토마스 J. 블라일리(Thomas J. Bliley)
가 공동으로 발의하였기 때문에 통상 그램-리치-블라일리법(Gramm-Leach-Bliley Act)
이라 불린다. 동 법의 주된 내용은 1933년의 글래스-스티걸법 중 ‘상업은행의 증권
관련 자회사 보유 금지’와 ‘상업은행과 투자은행의 임직원 겸직 금지’ 등 핵심 조항을
폐지하는 것이다. 종전의 글래스-스티걸법 ‘조항20’에 의하면 상업은행(연준 가입은행)은
증권의 인수와 거래를 주된 업무로 하는 자회사를 둘 수 없었으나, 그램-리치-블라일리법
제정으로 글래스-스티걸법 ‘조항20’은 전면 폐지되었다. 동 법은 금융산업의 경쟁력
강화를 명분으로 내세운 클린턴 행정부의 정책기조와 금융소비자의 편익증진 등을 구실
로 삼은 월스트리트 상업은행들의 로비력이 맞물려 탄생되었다. 동 법 제정으로 미국에
서 금융자유화의 시대가 열린 가운데 대형 상업은행들이 투자은행 업무에 뛰어들면서
경쟁이 심화되었고 이로 인해 기존 투자은행 중 일부가 무리한 투자를 일삼다가 위기에
빠진 것이 글로벌 금융위기의 단초가 된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연관검색어 : 글래스-스티걸법, 투자은행
104. 그린본드
그린본드는 발행대금을 기후 및 환경 관련 사업에 사용하는 것을 전제로 발행되는
특수목적 채권이다. 특징은 발행대금의 사용처(use of proceeds)에 있고 발행자가 그린51
본드 원칙(GBP; Green Bond Principle)에 따라 채권을 발행하는 경우 재량으로 이름을
지을 수 있다.
105. 그림자 금융
집합투자기구(MMF 채권형 혼합형 펀드 등), RP 거래, 유동화기구 등과 같이 은행시
스템 밖에서 신용중개기능을 수행하지만 은행 수준의 건전성 규제와 예금자보호가 적용
되지 않는 기관 또는 활동을 이르는 용어이다.
106. 근원인플레이션율
근원인플레이션율(core inflation rate)은 물가변동을 초래하는 여러 요인들 가운데
일시적인 공급충격의 영향을 제외한 기조적인 물가상승률을 말한다.
연관검색어 : 기대인플레이션, 인플레이션
107. 글래스-스티걸법
미국 의회가 제정한 법으로 공식 명칭은 1933년 은행법(Banking Act of 1933) 이다.
민주당 상원의원 카터 글래스(Carter Glass)와 민주당 하원의원 헨리 B. 스티걸(Henry
B. Steagall)이 공동으로 제안하였기 때문에 통상 글래스-스티걸법(Glass-Steagall Act)
이라 불린다. 은행들의 고객 자산을 이용한 방만한 투자행위가 1929년의 주가폭락과
그에 이은 금융위기 및 대공황의 원인 중 하나로 지목됨에 따라 ‘은행개혁’과 ‘투기규제’를
목적으로 동 법이 제정되었다. 동 법의 핵심 내용은 기존 은행을 상업은행과 투자은행으
로 구분하고 이들의 업무를 엄격하게 분리하려는 것이다. 이에 따라 상업은행은 증권의
발행 및 인수가 금지되고 증권 관련 자회사 보유도 금지되었으며, 투자은행은 일반인으로
부터 예금을 받을 수 없고, 상업은행과 투자은행간에 임직원의 겸직이 금지되었다.
연관검색어 : 그램-리치-블라일리법, 투자은행
108. 글로벌가치사슬(GVC)
글로벌 가치사슬(GVC; Global Value Chain)은 상품의 설계, 부품과 원재료의 조달,
생산, 유통, 판매에 이르기까지 각 세분화된 과정이 어느 한 국가가 아닌 비용면에서
우위가 있는 국가에서 이루어지면서 각 단계별로 부가가치가 창출되는 세계교역의 새로
운 패러다임을 말한다
연관검색어 : 부가가치
109. 글로벌금융안전망
금융위기 등으로 인하여 외화유동성이 부족해지는 경우에 대비하기 위하여 각국이
외화유동성을 인출하거나 지원받는 각종 제도적 장치들을 총칭하여 글로벌금융안전망이라고 한다.
연관검색어 : 지역금융협정
110. 금리선물
금리선물(interest rate futures)이란 기초자산인 금리를 거래대상으로 하며 현재의
시점에서 정한 가격으로 미래의 특정 시점에서 사거나 팔 것을 약정하는 계약을 말하다.
금리선물의 대표적인 상품은 기초자산별로 다양한 만기의 국채선물이다.
* 본 게시글은 경제금융용어 700선을 참고하여 작성되었음을 알립니다.
'경제 > 경제금융용어 700선 70일 챌린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제금융용어 700선 70일 챌린지 | Day 13 | (130/700) (1) | 2023.12.22 |
---|---|
경제금융용어 700선 70일 챌린지 | Day 12 | (120/700) (0) | 2023.12.22 |
경제금융용어 700선 70일 챌린지 | Day 10 | (100/700) (1) | 2023.12.19 |
경제금융용어 700선 70일 챌린지 | Day 09 | (90/700) (1) | 2023.12.18 |
경제금융용어 700선 70일 챌린지 | Day 08 | (80/700) (0) | 2023.12.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