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 가상통화공개(ICO)
가상통화(ICO; Initial Coin Offering) 공개는 주로 혁신적인 신생기업(startup)이
암호화폐(cryptocurrency) 또는 디지털 토큰(digital token, 일종의 투자증명)을 이용하여
자금을 조달할 수 있는 크라우드펀딩(crowd funding)의 한 방식이다.
연관 검색어 : 크라우드펀딩
크라우드펀딩
크라우드펀딩은 군중 또는 다수를 의미하는 영어단어 크라우드(Crowd)와 자금조달을 뜻하는
펀딩(Funding)을 조합한 용어입니다. 창의적 아이템을 가진 초기 기업가를 비롯한 자금수요자가
중개업자(온라인소액투자중개업자)의 온라인플랫폼에서 집단지성(The Wisdom of Crowds)를 활용하여
다수의 소액투자자로부터 자금을 조달하는 행위를 크라우드펀딩이라 합니다.
* INNOPOLIS 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
12. 간접금융/직접금융
경제에는 자금 잉여주체와 자금 부족주체가 존재하게 되는데 이들 사이에 은행이나
저축은행 신용협동기구 등 금융기관이 개입하여 자금을 중개하는 방식을 간접금융
(indirect financing)이라고 한다. 즉 금융기관이 일반 대중으로부터 예금을 받아
이를 자신의 명의로 기업 등 다른 경제주체에게 대출해 주는 방식이다. 한편, 주식
발행의 경우 자금수요자가 금융기관을 통하지 않고 금융시장에서 직접 필요자금을
조달하는 방식을 직접금융(direct financing)이라고 한다.
연관검색어 : 금융제도, 장기금융시장(자본시장)
전통적 금융시장은 거래되는 금융자산의 만기에 따라 자금시장(money market)과
자본시장(capital market)으로 구분된다. 자금시장은 단기 금융시장이라고도 하는데
콜시장, 한국은행 환매조건부증권매매시장, 환매조건부증권매매시장, 양도서예금증서시장,
기업어음시장 등이 자금시장에 해당된다. 자본시장은 장기금융시장이라고도 하며
주식 시장과 국채, 회사채, 금융채 등이 거래되는 채권시장
그리고 통화안정증권시장 등이 여기에 속한다.
* 한국은행
13. 간접세/직접세
조세는 납세의무자와 실제로 세금을 부담하게 되는 조세부담자가 일치하는지 여부에
따라 간접세(indirect tax)와 직접세(direct tax)로 구분된다. 납세의무자와 조세부담자가
일치하여 조세부담이 전가되지 않는 조세를 직접세라고 하며,
대표적인 예로는 소득세, 법인세, 상속세, 증여세, 종합부동산세 등이 있다.
이와 달리 납세의무자와 조세부담자가 일치하지 않고
조세의 부담이 타인에게 전가되는 세금을 간접세라고 하며,
대표적인 예로는 부가가치세, 개별소비세, 주세, 인지세, 증권거래세 등이 있다.
한편, 국민계정체계에서는 조세의 실질적인 부담주체를 결정하기가 쉽지 않은 점 등을 감안하여
간접세와 직접세 대신 생산 및 수입세, 소득 및 부 등에 대한 경상세, 자본세란 용어를 사용하고 있다.
14. 감독자협의회
다국적 금융기관들에 대한 효과적인 규제/감독을 위하여 다국적 금융기관의 본점이 소재한
국가(home country)의 감독 당국과 동 기관의 지점 또는 자회사가 소재한
진출국(host country)의 감독 당국들로 구성된 정보공유 및 감독협력 협의체를 의미한다.
15. 감응도계수
전방연쇄효과 참조 (245쪽)
감응도 계수
감응도계수는 모든 산업부문의 생산물에 대한 최종수요가 각각 1단위씩 증가하였을 때에 특정 산업이
받는 영향의 크기를 전산업의 평균에 대한 상대적 크기로 나타낸 계수이다.
* 한국자원공학회지
전방연쇄효과
전방연쇄효과는 한 산업의 발전이
그 산업의 생산물을 중간투입물로 사용하는 타 산업을 발전시키는 효과를 말한다.
* 국가미래연구원
16. 갑기금(Capital A)
외국은행 국내지점의 대차대조표상 자본금계정으로 1) 외국은행 국내지점의 설치 및 영업행위를 위하여
본점이 한국은행 등에 외화자금을 매각하여 해당 지점에 공급한 원화 자금 2) 해당 외국은행 국내지점의
적립금에서 전입하는 자금 3) 외국은행 국내지점을 추가로 설치하기 위하여 이미 국내에 설치된 외국은행
국내지점의 이월이익잉여금에서 전입하는 자금 등이 이에 해당한다. 갑기금은 금융위원회로부터 인정받은
금액에 한하여 지점별로 관리하되 각 외은지점의 갑기금은 30억 원 이상이어야 한다.(은행법시행령
제 26조, 은행법 감독규정 제11조)
연관검색어 : 을기금(Capital B)
을기금(Capital B)
을기금은 외국은행 국내지점의 지급보증한도, 동일인 여신한도 등 은행법상의 영업규제와 관련하여
자기자본을 확대해줌으로써 여신기능이 원활히 수행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명목상의 자본금으로
대차대조표에는 나타나지 않는다.
* 한경 용어사전
17. 거시건전성 정책
개별 금융회사의 부실 방지를 목적으로 하는 미시건전성정책(microprudential policy)과 달리
경제전체의 금융안정을 위해 시스템 리스크(systemic risk)를 억제하는 정책을 의미한다.
18. 거액결제시스템
거액의 자금이체가 참가기관 간에 자기계산으로 또는 고객을 대신하여 이루어지는
자금이체시스템을 말한다.
19. 거액익스포저 규제
은행의 특정 차주 등에 대한 신용공여가 과대한 경우 해당 거래상대방의 채무불이행
등의 발생시 해당 은행의 자본건전성을 심하게 훼손할 가능성(편중리스크)이 있다.
바젤II에서는 이러한 편중리스크를 직접 규율하지 않고 각국 감독당국이
편중리스크를 점검/관리하도록 하였다.
20. 결제
결제(settlement)는 개인이나 기업 등 경제주체가 자금거래 또는 금융자산 거래를 한 후
청산과정을 통해 최종 확정된 금액 또는 증권을 이전하여 법적인 채권/채무를 종결시키는 과정이다.
* 본 게시글은 경제금융용어 700선을 참고하여 작성되었음을 알립니다.
'경제 > 경제금융용어 700선 70일 챌린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제금융용어 700선 70일 챌린지 | Day 06 | (60/700) (0) | 2023.12.15 |
---|---|
경제금융용어 700선 70일 챌린지 | Day 05 | (50/700) (0) | 2023.12.14 |
경제금융용어 700선 70일 챌린지 | Day 04 | (40/700) (1) | 2023.12.13 |
경제금융용어 700선 70일 챌린지 | Day 03 | (30/700) (1) | 2023.12.12 |
경제금융용어 700선 70일 챌린지 | Day 01 | (10/700) (1) | 2023.12.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