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 경영실태평가/은행경영실태등급평가제도
임점 검사 시 금융기관의 경영실태 전반을 점검/평가하는 제도이다. 경영상태를 부문별로
일정한 방식에 의거 등급 평가하고 이를 다시 종합적으로 평가함으로써 금융기관 경영상의
취약부문을 식별하여 적절한 시정방안을 제시함과 아울러 등급평가 결과에 따라 감독/검사
업무를 차등화함으로써 금융기관의 책임경영체제를 확립하고자 하는데 그 주된 목적이 있다.
연관검색어 : CAMEL-R시스템/ROCA시스템/CACREL시스템
32. 경영지도비율
금융위원회는 은행법 제45조, 은행업 감독규정 제26조 및 동 시행세칙 제17조에 의거
금융기관 경영의 건전성 확보를 통한 신용 질서유지 및 예금자보호를 목적으로
BIS자기자본비율, 원화유동성비율 등의 경영지도비율을 정하여 운용하고 있다.
동 지도 비율을 충족하지 못하는 은행에 대해서는 금융위원회가 경영개선권고,
경영개선요구 및 경영개선명령 등의 조치를 취할 수 있다.
33. 경영평가지표
은행경영실태평가 시 이용하는 경영평가지표는 크게 계량지표와 비계량평가항목으로
구분할 수 있다. 계량지표는 은행 본점(특수은행 포함) 및 금융기관 현지법인에 대하여
4개 부문(자본적정성, 자산건전성, 수익성, 유동성) 13개 지표를 이요하며, 외은지점 및
국내은행 국외지점에 대하여는 자산건전성부문 4개 지표를 이용하고 있다.
비계량평가항목의 경우 일반은행 본점 및 금융기관 현지법인에 대하여
6개 부문(자본적정성, 자산건전성, 경영관리의 적정성, 수익성, 유동성, 리스크 관리)
29개 항목을 이용하며, 외국은행 국내지점 및 금융기관 국외지점에 대하여는
4개 부문(리스크 관리, 경영관리 및 내부통제, 법규준수, 자산건전성) 18개 지표를 이용하고 있다.
특수은행의 경우 6개부문(자본적정성, 자산건전성, 법규준수, 위험관리, 수익성, 유동성)
25개 비계량 평가항목을 이용한다.
34. 경제성장률
경제성장률이란 일정 기간(분기 또는 연간) 중 한 나라의 경제규모,
즉 국민소득 규모가 늘어난 정도를 백분율로 표시한 것이다.
연관검색어 : 잠재GDP성장률
35. 경제심리지수
경제심리지수란 기업가 또는 소비자들의 경제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여 작성한 지표이며,
대표적으로 조사대상을 기업가로 하는 기업경기실사지수(BSI; Business Survey Index)와
소비자로 하는 소비자동향지수(CSI; Consumer Survey Index)가 있다. 그런데 심리지표와
실물지표는 대체로 높은 상관관계를 보이지만 때로는 미래정보 및 기대수준의 반영 여부,
질적 통계와 양적 통계 간의 조사척도 차이 등에 따라 다소 괴리되는 움직임을 보이기도 한다.
연관검색어 : 기업경기실사지수(BSI), 소비자동향지수(CSI)
36.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제2차 세계대전 짛구 유럽경제 부흥 지원을 위해 설립되었던 유럽경제협력기구(OEEC)의 18개국과
미국, 캐나다 등 총 20개 선진국이 1960년 12월에 설립한 국제기구이다.
설립목적은 상호 정책조정 및 협력을 통해 회원국의 경제성장과 금융안정을 도모함으로써
세계경제 발전에 기여하고 각국의 건전한 경제성장을 촉진하며
다자주의와 비차별 원칙에 입각하여 세계무역 확대에 기여하는 것이다.
37. 경제활동인구/비경제활동인구/경제활동참가율
군인과 재소자 등을 제외한 만15세 이상 인구를 노동가능인구라하며,
이중 일할 수 있는 능력과 취업의사를 동시에 갖춘 사람을 경제활동인구라 한다.
노동가능인구 중 경제활동인구에 포함되지 않은 사람,
즉 일할 능력이 없거나 일하고자하는 의사가 없는 사람은 비경제활동인구로 분류된다.
한편 노동가능인구에 대한 경제활동인구의 비율을 경제활동참가율이라 한다.
연관검색어 : 고용보조지표, 잠재경제활동인구
38. 경제후생지표
복지지표로서 한계성을 갖는 국민총소득(GNI)을 보완하기 위해 미국의 노드하우스(W. Nordhaus)와
토빈(J. Tobin)이 제안한 새로운 지표를 말한다. 현재 주요 지표로 활용 중인 국민총소득은
국민 복지에 영향을 미치는 많은 요인(주부의 가사노동, 여가, 공해 등)을 포괄하지 못하고 있어
국민 생활의 질적 수준 또는 복지수준을 정확히 반영하지 못하는 단점을 갖고 있다.
이를 감안하여 경제후생지표(measure of economic welfare)는 국민총소득에 후생요소를 추가하면서
비후생요소를 제외함으로써 복지수준을 정확히 반영하려는 취지로 제안되었지만,
통계작성에 있어 후생 및 비후생 요소의 수량화가 쉽지 않아 널리 사용되지는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연관검색어 : 국민총소득(GNI)
39. 경직적 물가지수
소비자물가지수를 구성하는 품목 중에 가격이 경직적으로 움직이는 품목과 신축적으로 움직이는
품목으로 나누어 볼 수 있는데, 그중 경직적으로 움직이는 품목들을 대상으로 만든 물가지수를
경직적 물가지수, 신축적으로 움직이는 품목을 대상으로 한 물가지수를 신축적 물가지수라 한다.
연관검색어 : 근원인플레이션율
40. 계절변동조성시계열
경제의 움직임은 주로 일, 주, 월, 분기 또는 연간 등 일정기간을 기준으로 통계를 수집하여 파악하는데
이를 시계열이라 한다. 대부분의 경제분석은 시계열 수준ㅇ보다는 변동을 대상으로 한다. 시계열의 변동
요인은 크게 추세, 순환, 계절 및 불규칙 요인의 네 가지로 구분할 수 있따. 특히 시계열에서 주기적으
로 나타나는 기후나 명절 등과 같은 사회적 관습은 매년 반복되는 특성이 있는데 이를 계절변동요인이라
한다. 이러한 계절변동을 고려하지 않고 기간별로 시계열의 증감을 비교하면 올바른 인과관계를 파악하
는 데 오류가 있을 수 있다. 특히 전월 또는 전분기 대비 증감은 계절변동을 조정하지 않고 계산하면
많은 왜곡이 있게 된다. 계절변동조정시계열은 원래의 시계열에서 계절요인을 여러 통계적 기법을 이용
하여 제거한 것을 말한다. 이때 일반적으로 예측 가능한 불규칙요인도 함께 제거한다. 한편 계절변동요
인은 연간단위로 나타나므로 연간시계열에는 적용되지 않으며, 전년동기대비는 각 기간의 계절도변동요
인 같다고 판단하여 원래의 시계열을 이용한다. 특히 우리나라는 설이나 추석 등은 음력을 사용함에 따
라 양력을 기준으로 한 계절성이 특이하게 나타나는 측면도 있어 계절변동조정을 하는데 있어 고려할
사항이 더 많다.
연관검색어 : 경제성장률
https://modulabs.co.kr/blog/time-series-intro/
시계열 분석의 정의와 시계열 데이터의 구성요소 - 알아보자 시계열 분석 Episode 1
시계열 분석의 정의와 통계 기반의 시계열 분석 기법이 중요한 이유를 설명합니다. 시계열 데이터의 세 가지 구성 요소(추세, 계절성, 주기성)를 이야기하고, 이후 글에서 다룰 예정인 개념들(정
modulabs.co.kr
https://blog.naver.com/yonxman/220847255251
[보론1] 계절조정, 계절조정 방법론 소개
Eviews 두번째 시간, 계절조정에서 계절조정을 제거할 수 있는 두가지 방법을 소개했었습니다. 바로...
blog.naver.com
* 본 게시글은 경제금융용어 700선을 참고하여 작성되었음을 알립니다.
'경제 > 경제금융용어 700선 70일 챌린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제금융용어 700선 70일 챌린지 | Day 06 | (60/700) (0) | 2023.12.15 |
---|---|
경제금융용어 700선 70일 챌린지 | Day 05 | (50/700) (0) | 2023.12.14 |
경제금융용어 700선 70일 챌린지 | Day 03 | (30/700) (1) | 2023.12.12 |
경제금융용어 700선 70일 챌린지 | Day 02 | (20/700) (0) | 2023.12.11 |
경제금융용어 700선 70일 챌린지 | Day 01 | (10/700) (1) | 2023.12.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