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경제금융용어 700선 70일 챌린지

경제금융용어 700선 70일 챌린지 | Day 15 | (150/700)

141. 기저효과

 

기저효과(base effect)는 경제지표 증가율을 해석할 때 기준시점과 비교시점의 상대적
인 위치에 따라서 경제상황에 대한 평가가 실제보다 위축되거나 부풀려지는 등의 왜곡이 
일어나는 것을 말한다.

연관검색어 : 계정변동조정시계열

 

142. 기준금리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에서 결정하는 정책금리를 말한다. 한국은행과 금융기관 
간에 환매조건부채권매매(RP)와 대기성 여수신 등의 자금거래를 할 때 기준으로 적용된다.

연관검색어 : 환매조건부매매/RP/Repo

 

143. 기준순환일

 

기준순환일이란 경기변동의 과정에서 국면전환이 이루어진 일자를 의미한다. 즉 경기
가 확장국면에서 수축국면으로 전환하는 경기정점 또는 수축국면에서 확장국면으로 
전환하는 경기저점의 구체적인 일자를 말한다.

연관검색어 : 경기, 경기종합지수, 동행종합지수

 

144. 기준환율

 

기준환율이란 일반적으로 “자국 통화와 여러 외국 통화간의 환율결정에서 다른 외국 
통화 환율 결정의 기준이 되는 환율”을 의미한다. 

연관검색어 : 재정환율

 

145. 기초가격

 

기초가격(basic price)은 일정기간 동안 경제주체가 생산한 생산물을 가격으로 평가함
에 있어 생산자가격에서 부가가치세와 같은 생산물세(production tax)를 제외하고 정부
에서 주는 보조금(subsidy)을 더한 가격을 의미하며, 순수하게 생산자(주로 기업)가 
갖게 되는 몫을 말한다.

연관검색어 : 국내총생산(GDP)

 

146. 기축통화

 

기축통화란 여러 국가의 암묵적인 동의하에 국제거래에서 중심적인 역할을 하는 통화를 지칭한다.

연관검색어 : 교환성 통화

 

147. 기타기본자본(Additional Tier 1)

 

기타기본자본(AT1; Additional Tier 1)은 요건을 충족하는 기타기본자본증권 및 이와 
관련된 자본잉여금, 자회사가 발행한 기타기본자본증권의 제3자 보유분 중 일부 금액 
등으로 구성된다.

 

148. 기펜재

 

일반적으로 재화는 수요의 법칙에 따라 가격이 하락하면 수요량이 늘어난다. 그러나 
예외적으로 재화의 가격이 하락할 때 수요량이 감소하는 현상을 관찰할 수 있다. 이렇게 
가격이 하락할 경우 수요의 법칙에 위배되는 재화를 이를 처음 관찰한 학자의 이름을 
따서 기펜재라고 부른다. 기펜재는 열등재의 일종이다. 즉 소득이 증가함에 따라 수요가 
감소하는 재화를 열등재라 하는데, 열등재 중에서도 열등성이 매우 커서 소득효과가 
가격하락에 따른 수요량 증가의 대체효과를 초과하여, 결과적으로 가격의 하락이 수요량
의 감소를 가져오는 것으로 분석할 수 있다. 가격이 상승할 경우에는 반대의 방향으로 
설명할 수 있다.

연관검색어 : 밴드웨건효과, 베블런효과

 

149. 기회비용

 

인간의 욕구에 비해 자원이 부족한 현상을 희소성이라고 한다. 희소한 자원을 가지고 
인간의 모든 욕구를 충족시킬 수 없기 때문에 인간은 누구든지 부족한 자원을 어느 
곳에 우선으로 활용할 것인가를 결정하는 선택을 해야 한다. 즉 다양한 욕구의 대상들 
가운데서 하나를 고를 수밖에 없다는 뜻이다. 이때 포기해 버린 선택의 욕구들로부터 
예상되는 유 무형의 이익 중 최선의 이익을 기회비용(opportunity cost)이라고 한다. 
자원의 희소성이 존재하는 한 기회비용은 반드시 발생하게 되어 있고 이는 경제문제를 
발생시키는 근본요인이 된다. 기업은 기업가가 투자를 선택할 경우 포기한 나머지 선택
의 가치인 투자금액의 은행예금 이자 등이 기회비용이 된다.

연관검색어 : 한계비용

 

150. 긴급수입제한조치

 

긴급수입제한조치 즉, 세이프가드(safeguard)란 특정 품목의 수입이 급증하여 국내 
업체에 심각한 피해가 발생하거나 그럴 우려가 있을 경우, 수입국이 관세 인상이나 
수입량 제한 등을 통해 수입품에 대한 규제를 할 수 있는 제도이며 무역장벽의 하나라고 
볼 수 있다. 현재 세계무역기구(WTO; World Trade Organization)도 가입국들이 세이프
가드 조처를 할 권리를 인정하고 있다. 수입 물품에 대한 수량제한, 관세율 조정 및 
국내산업의 구조조정을 촉진하기 위한 지원정책 등이 세이프가드로 동원될 수 있다. 
그러나 세계무역기구의 세이프가드 협정은 제한적으로 취해져야 하고 세이프가드 조처
를 하는 수입국은 해당 물품의 수출국에 적절한 보상을 해줄 것을 권고하고 있다. 

연관검색어 : 상계관세, 슈퍼301조

 

* 본 게시글은 경제금융용어 700선을 참고하여 작성되었음을 알립니다.